게시물 내용
-
조선일보 박주영기자

"수심 16m밖에 안되고 바닥은 단단한 암반층"
부산시가 구상 중인 가덕도 신공항은 최근 개통된 거가대로(경남 거제와 부산 가덕도를 잇는 도로)의 종점인 가덕도 남동단 앞바다에 조성된다. 신공항의 부지 면적은 693만㎡(210만여평·서울 월드컵경기장 759개 넓이). 부지 전체가 바다를 메워 만들어진다.
매립하게 될 해역의 평균 수심은 16m로 그리 깊지 않다. 매립된 바다의 공간을 메우는 데 필요한 흙·모래 양은 1억3100만㎥ 정도. 이렇게 만들어진 부지 위에 폭 45m, 길이 3200m짜리 활주로 2개가 만들어질 예정이다.
강희천 부산시 동북아제2허브공항유치기획팀장은 "바다 수심이 16m밖에 안 되는 데다 밑바닥 암반층이 단단해 공항을 조성한 뒤 침하 등의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가덕도 신공항의 장점은 바다 위에 지어져 주변에 비행기 항로를 가로막는 산 같은 장애물이나 소음 민원이 발생할 주거 밀집지가 없다는 것이다. 부산시 허범도 정무특보는 "안전하고 소음 민원이 없는 가덕도 신공항은 24시간 운영이 가능해 '지방공항의 저주'라는 적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인근의 부산신항과 연결해 하늘과 바다를 잇는 세계적 수준의 복합물류체계를 구축하게 되면 국가 물류 경쟁력을 높이는 새 엔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사비는 7조9000억원 혹은 9조8000억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부산시 김효영 교통국장은 "7조9000억원은 부산발전연구원에서, 9조8000억원은 국토해양부에서 각각 산출한 것"이라고 말했다. 공사 기간은 총 5년 6개월로 추정하고 있다.
가덕도 신공항은 조선·기계·부품 등 산업이 밀집한 창원·거제·김해·양산 등과 인접해 있고, 부산~울산고속도로로 연결되는 자동차·조선의 메카인 울산과도 멀지 않다. 바른공항건설시민연대 박인호 공동대표는 "접근성 등의 문제를 지도상 직선거리나 단순 거주자 수로만 평가해선 안 된다"며 "영종도 인천공항처럼 해외 비즈니스·여행 수요가 많은 지역과 얼마나 잘 연결되고, 국내·외 항공사들이 흔쾌히 노선을 개설할 조건을 갖췄는지 등의 관점에서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