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토목인들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거대한 공룡이 한번 움직이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지만 이미 움직인 그 발걸음은 어느 누구도 따라올 수 없듯이 이제 앞으로 나갈 일만 남은 셈이다.
지난 9일 토목학회 60주년 기념행사로 치러진 정책토론회는 그동안 토목신문에서 수없이 지적하고 부르짖었던 ‘토목 폄하를 극복하고 정책 결정에 참여해야 한다’는 대의가 공론화 되고 있는 현장이었다.
특히 토목신문에서 최근 보도한 “SOC가 복지다”를 다시한번 강조하듯 주제발표를 맡은 좌승희 경기개발연구원 이사장은 “SOC를 만들어 내는 토목이 바로 복지”며 “SOC투자를 통한 경제효율제고와 일자리 창출이 바로 국가정책이 나아갈 길”이라며 ‘토건국가’‘토건족’등의 무분별한 용어남발을 서슴지 않는 정치인들의 각성을 촉구했다.
최근들어 정치권을 중심으로 SOC(Social Overhead Capital,사회간접자본)에 대한 부정적인 소리를 쏟아내고 있어 SOC분야에 관여하는 학계와 업계 관계자들을 곤혹스럽게 만들고 있다. 아예 일부 대권주자를 비롯한 일부 정치인들은 마치 SOC투자를 비리의 온상인양 매도하는 분위기를 만드는 한편 ‘복지우선’을 강조하고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이들은 과도한 SOC투자야 말로 소위 ‘토건족’의 배를 불려주는 하나의 수단으로 전락하고 있다며 특정직업군을 폄하하는 발언도 서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비판과 지적은 MB정권 들어서 그 정도가 심해 토건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고개를 들고 다니기 힘들 정도이다.
문제는 이들이 지목하는 대부분의 ‘토건족’들이 일부 재벌 산하의 건설사를 제외하고는 모두 굶주리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이다.
해마다 부도와 임금체불로 쓰러져 가는 건설업체가 부지기수인 현실을 도외시한 채 입만 벌리면 ‘토건족’ 운운하는 이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주장과 비판이 상당히 정치적인 의도와 함께 토건분야에 종사하는 엔지니어들을 볼모로 삼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SOC사업이나 건설정책등 현안사항을 기존 정치인들에게 부탁했던 과거의 행태에서 벗어나 엔지니어들이 직접 현실정치에 참여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폭넓게 퍼지고 있다.
현재 토목인으로서 국회에서 의정활동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는 조경태의원(재선,민주당,부산 사하구)은 “국회 활동을 해보니 토목전공이 얼마나 도움이 되는 지 항상 실감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또 조의원은 “국회에 토목엔지니어가 여러명 있다면 서로 힘을 모아 합리적인 SOC정책이나 건설정책을 펴나가기가 훨씬 수월할 것” 이라며 내년 총선에 토목인들이 많이 참여할 것을 희망했다.
한편 내년 총선에 토목인들이 여야를 불문하고 많은 수가 국회에 입성할 수 있도록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퍼지고 있다.
각 대학 토목과 동창회를 중심으로 대학별 동문들의 총선 활동을 지원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들어 모대학교의 동창회가 기수별,업종별로 조직을 타이트하게 재 구성하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