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물 내용
브라질 정부 사업비 낮게 책정, 조건 바꾸면 언제든 다시 참여당초 수주가 유력했던 것으로 알려졌던 브라질 고속철 건설 사업에 우리나라가 현재의 조건으로는 수익성이 없다고 판단하고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 다만 브라질 정부가 다시 조건을 변경해 사업성이 날 수 있도록 입찰을 한다면 언제든 다시 수주에 참여한다는 입장이다. 11일 브라질고속철도사업단에 따르면 한국은 12일(현지 시각 11일) 마감하는 브라질 고속철 사업에 입찰 신청서를 내지 않기로 했다. 사업단 관계자는 "브라질 정부가 사업비 자체를 워낙 낮게 책정해 현재 조건으론 수익이 나지 않는다고 판단한 현지 건설업체들이 발을 뺐다"며 "이 때문에 브라질 현지 업체와의 컨소시엄을 구성하지 못해 입찰 참여가 불가능해졌다"고 말했다. 브라질 정부는 해외 참여 업체는 반드시 브라질 건설업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하도록 하는 계약조건을 제시했다. 이번 사업을 두고 브라질 정부는 총 사업비 약 23조원을 책정했다. 하지만 브라질 정부가 원하는 대로 철도를 놓기 위해서는 적어도 35조~40조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정된다. 게다가 브라질 정부는 사업비 가운데 30%는 민자를 유치한 뒤 약 40년 동안 운영하면서 그 수익으로 충당하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단과 우리 정부는 이런 조건에서는 도저히 입찰에 참여할 수 없다고 결론을 내렸다. 철도 관계자는 "브라질 정부가 야당 등의 공세를 막기 위해 일단 입찰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만들었다가 명분을 쌓은 뒤 다시 입찰에 나서려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우리와 경쟁을 벌였던 일본과 프랑스도 우리와 비슷한 이유로 입찰에 응하지 않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브라질 정부가 조건을 바꿔 수익성이 난다고 판단되면 다시 입찰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